-->
zKgrs6zB85hFXVVYWSgviTSlJUgaUFEUTuteYZ8X
Bookmark

기계설비 VE 사례: DDC 분산 배치를 통한 전선관 절감 방안

대형 물류창고 신축공사에서 기계설비 자동제어 시스템(DDC, Direct Digital Control)의 배치 방식은 시공 비용과 설비 효율성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. 

기계설비 VE 사례: DDC 분산 배치를 통한 전선관 절감 방안

본 사례에서는 기존 중앙 집중형 DDC 배치를 분산형으로 변경하여 전선관 및 배선 물량을 절감하는 VE(Value Engineering) 방안을 살펴봅니다.

기존 문제점: 중앙 집중형 DDC 배치로 인한 비용 증가

기존 설계에서는 5개의 DDC를 기계실에 집중 배치하여 운영하는 방식이었습니다. 그러나 이러한 배치 방식은 다음과 같은 문제를 초래했습니다.

전선관 및 배선 물량 증가

  • 기계실과 설비 간 배선 거리가 길어져 전선관 및 배선 물량이 증가합니다.
  • 배선 작업이 복잡해지면서 시공 비용이 증가하고 공사 기간이 길어집니다.

설치 공간 부족 및 시공 난이도 상승

  • DDC가 한 곳에 몰리면서 기계실 내 공간이 협소해지고, 배선 작업이 어려워집니다.
  • 설비 증설 및 유지보수 시 접근성이 떨어져 관리가 복잡해집니다.

전력 부하 집중 및 장애 위험 증가

  • 모든 DDC가 한 기계실에서 운영되므로 특정 구역에 전력 부하가 집중될 가능성이 있습니다.
  • 장애 발생 시 전체 시스템이 영향을 받을 위험이 커집니다.

VE 제안: DDC 분산 배치를 통한 효율적 운영

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DDC를 각 설비 구역에 분산 배치하는 방안을 VE 개선안으로 제안합니다.

DDC 분산 배치 개념

  • 기존 중앙 집중형 배치 대신 설비 부하가 많은 구역에 DDC를 분산 배치하여 배선 거리를 최소화합니다.
  • 각 설비 구역에서 직접 제어가 가능하도록 설계를 변경하여 전선관 및 배선 물량을 절감합니다.

VE 개선 효과

① 전선관 및 배선 물량 절감 → 시공 비용 절감

  • 설비와 DDC 간 거리가 짧아지면서 전선관 및 배선 필요량이 감소합니다.
  • 자재비 절감뿐만 아니라 배선 공사 난이도가 낮아져 공사 기간이 단축됩니다.

② 유지보수 용이 → 운영 효율성 증가

  • 특정 구역에서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전체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.
  • 설비별 DDC 유지보수가 가능하여 장애 대응 속도가 빨라집니다.

③ 전력 부하 분산 → 시스템 안정성 향상

  • 한 곳에 집중된 전력 부하를 분산하여 전기실 내 부하 균형을 맞출 수 있습니다.
  • 네트워크 및 전원 이중화 설계를 적용하면 시스템 장애에 대비할 수 있습니다.

④ 확장성 증가 → 향후 증설 용이

  • 추후 물류창고 설비 추가 시 별도 배선 공사 없이 가까운 DDC에 연결하여 확장할 수 있습니다.

DDC 분산 배치의 단점 및 해결 방안

DDC를 분산 배치할 경우 몇 가지 단점이 발생할 수 있으며, 이에 대한 해결 방안도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.

네트워크 배선 추가 필요

  • DDC 간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 배선이 추가로 필요할 수 있습니다.
  • 해결책: 무선 네트워크 또는 광케이블을 활용하여 네트워크 구성을 최적화합니다.

제어 신호 동기화 문제 발생 가능

  • DDC 간 데이터 동기화가 필요하므로 실시간 통신 속도가 저하될 수 있습니다.
  • 해결책: 고속 네트워크 및 BAS/BMS(건물 자동제어 시스템)와 연계하여 데이터 동기화를 개선합니다.

설치 공간 추가 필요

  • 각 DDC를 배치할 공간이 필요하므로 설치 장소를 확보해야 합니다.
  • 해결책: 기계실 외에도 설비 구역 내 여유 공간을 활용하여 최적의 배치를 설계합니다.

운영 관리 포인트 증가

  • 여러 곳에 DDC가 분산되면서 유지보수 관리 포인트가 늘어날 수 있습니다.
  • 해결책: 중앙 모니터링 시스템(BMS) 도입을 통해 DDC를 한 곳에서 통합 관리하도록 설계합니다.

4. 결론: DDC 분산 배치를 통한 최적의 VE 방안

기계설비 자동제어 시스템에서 DDC를 분산 배치하는 VE 제안은 전선관 절감, 시공 비용 절감, 유지보수 효율 증가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.

📌 VE 제안 최종 정리

  • 전선관 및 배선 절감 → 공사비 절감 및 시공 난이도 완화
  • 전력 부하 분산 → 시스템 안정성 향상
  • 유지보수 편의성 증가 → 장애 발생 시 영향 최소화
  • 확장성 확보 → 향후 설비 증설 시 유연한 대응 가능

다만, 네트워크 통신 및 관리 포인트 증가 등의 단점이 있을 수 있으므로, BMS 연계 및 네트워크 최적화 등의 보완책을 함께 적용하면 더욱 효과적인 VE 개선안을 도출할 수 있습니다.

이러한 DDC 분산 배치를 통한 VE 사례는 대형 물류창고뿐만 아니라 기계설비 자동제어가 중요한 다양한 건축 프로젝트에서도 최적의 해결책이 될 수 있습니다.